성차별의 간접구조와 정책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- 광주지역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
첨부파일
-
강현아, 성차별의 간접구조와 정책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- 광주지역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.pdf (699.9K) 0회 다운로드 DATE : 2019-02-12 14:58:45
관련링크
본문
이 논문의 목적은 광주지역 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성별로 인한 간접차별구조를 점검하고, 간접차별 현황 파악 및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. 먼저 성차별의 간접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, 이 지표에 따라 간접차별구조의 실태를 확인하여 성평등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.
정책과제는 첫째, 여성의 대표성 확보를 통한 성평등 실현이다. 여성의 대표성 확보를 위한 제도의 제재 및 유인수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마련해야 하며, 이를 위해 공공기관 내 경영평가 지표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. 둘째, 여성의 경력유지 개선을 위한 지역사회 환경기반 구축이 필요하다. 공공기관 노동자에 대한 인사관리 지침(인사, 보직, 교육 등)을 성인지적으로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공공기관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행점검하는 제도도입 및 실행이 요구된다. 또한 여성노동자 역량강화 및 경력개발 지원이 조직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. 셋째, 일・가정양립제도 개선방안으로서 광주지역 공공기관에서 남성노동자가 적극적으로 육아휴직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관 내 남성 육아휴직자에 대한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도도입을 함으로써 성평등한 조직문화로 개선해야 한다. 넷째, 성평등한 직장문화 확산이다. 성평등한 직장문화 및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성별임금격차 개선이 필요하며, 조직 내 성평등한 인사・평가규정 및 지침 매뉴얼을 보급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.
주제어 : 성차별의 간접구조, 여성의 경력유지, 여성의 대표성, 성평등한 조직문화